Start From Here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Start From Here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216)
    • 비즈니스/스타트업 (49)
    • Codestudy (6)
    • 전략 컨설팅 (10)
    • E-Commerce (20)
    • 실행 (Execution) (9)
    • 주식&부동산&투자 (22)
    • 영화/음악 (44)
    • 운동/건강 (6)
    • 일상 (38)
    • 먹고/놀고/쉬고 (6)
    • Motivation (6)

검색 레이어

Start From Here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투자

  • [서적] 부자들의 개인 도서관

    2016.06.02 by Bizcreator

  • 소유가 아닌 공유의 시대, 카쉐어링 서비스

    2014.10.16 by Bizcreator

  • 우수업체 중심의 종목선정 (세계일류상품 보유업체)

    2014.06.14 by Bizcreator

  • [워렌버핏 완벽투자기법] 경영요소 (1/3)

    2014.05.29 by Bizcreator

  • [워렌버핏 완벽투자기법] 기업요소 (3/3)

    2014.05.27 by Bizcreator

  • [워렌버핏 완벽투자기법] 기업요소 (1/3)

    2014.05.24 by Bizcreator

  • 워렌 버핏의 완벽투자기법

    2014.05.23 by Bizcreator

  • 도달하고자 하는 목표와 그 목표를 헷갈리게 하는 돈

    2014.04.22 by Bizcreator

[서적] 부자들의 개인 도서관

부자들의 개인 도서관 부자들의 개인 도서관 국내도서 저자 : 이상건 출판 : 랜덤하우스 2005.04.22상세보기 부자가 된다는 것은, 부자가 아닌 대부분의 꿈이 아닐까요? 물론 돈에는 전혀 관심이 없는 사람들도 있긴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부자가 되기를 꿈꿉니다 부자가 되고자 하는 가장 큰 이유는 '자유'를 얻기 위함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일하지 않을 자유, 스트레스 주고 보기 싫은 회사 상사나 동료를 보지 않을 자유 등등 돈에 아무리 무관심 하다고 해도, 생활을 이어나가기 위해 돈은 무조건 필요한 것이고, 노동을 기반으로 돈을 벌고 있는 일반적인 직장인이라고 하면, 아무리 적당한 수준의 수입이더라도 노동의 강도는 적당하지 않다는 것을 잘 알고 있을 것입니다 투자와 부자에 관련된 책들을 읽어보다 보니, ..

주식&부동산&투자 2016. 6. 2. 08:35

소유가 아닌 공유의 시대, 카쉐어링 서비스

소유가 아닌 공유의 시대, 카쉐어링 서비스 이젠 소유가 아닌 공유의 시대~~~ 렌탈서비스를 제공하는 모 기업과 함께 일할 때 매우 자주 듣던 말입니다 요즘은 여기 저기서 이 멘트를 사용하는 기업들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공유경제 서비스 모델은 여기 저기 많이 있습니다 그 중 가장 눈에 띄는 아이템은 자동차와 부동산입니다 부동산의 경우는 에어비앤비를 들 수 있겠고, 차동차의 경우는 제목에 쓴 것처럼 카쉐어링 서비스가 가장 관심을 많이 받고 있는 서비스 중 하나입니다 자동차 공유경제 모델 중 전 세계적으로 매우 관심을 받고 급성장하고 있는 BM 은 몇 번 포스팅 했었던 우버 (Uber) 를 들 수 있겠지요 (이전 글: 차량 공유경제 BM 의 대표주자 UBER, 험난한 국내사업, 한국정부라는 경쟁자를 맞이한 ..

비즈니스/스타트업 2014. 10. 16. 09:23

우수업체 중심의 종목선정 (세계일류상품 보유업체)

어떤 기업의 주식을 매수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결정은 항상 어렵습니다 코스피에 등록되어 있는 주요한 대기업 주식을 사 놓으면 항상 그냥 오를 것 같기도 하지만, 막상 사려고 하면 너무 올라 있는 것 같고... 이런 고민들은 대부분 주식투자를 하시눈 분들이 다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사고싶은 종목 선정이 되어야, 그 이후 언제 매수하고, 언제 매도할 것인지에 대해서 결정을 해야 하는데, 종목 선정이 잘 되지 않으니 그냥 막무가내로 이거 샀다가 저거 샀다가 하는 일들이 반복되는 경향이 많이 있습니다 단타 관련 기법책을 제외하고, 수많은 Classic 한 투자서들이 공통적으로 하는 말이 있습니다 "망하지 않는 기업을 사라" 우량기업을 매수하라는 의미입니다 어떤 기업이 우량 기업일까요? 매출액이 크면 우량기업일까..

주식&부동산&투자 2014. 6. 14. 23:40

[워렌버핏 완벽투자기법] 경영요소 (1/3)

워렌버핏은 좋은 경영자가 경영하는 회사를 좋아한다고 합니다 이 책에서 들고 있는 기준은 다음의 3가지 입니다 경영진이 합리적인가? 경영진이 주주들에게 정직한가? 경영진이 제도적 관행에 도전할 용기가 있는가? 이 중에서 1번에 대해서 우선 생각해 보겠습니다 '경영진이 합리적인 기업에 투자하라' 버핏이 생각하는 기업경영의 가장 중요한 행위는 '회사의 자금을 어떻게 배분할 것인가?' 라는 문제에 대해 답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즉, 개발 및 운영비를 모두 충당하고도 더 남는 돈을 벌어들이기 시작할 때, 그 돈을 어떻게 운영할 것인지에 대한 의사결정이죠 아주 행복한 고민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이렇게 돈이 남는 기업이 있을 때 할 수 있는 일은 3가지로 정리하고 있습니다 재투자 주주배당 자사주 취득 1번의 ..

주식&부동산&투자 2014. 5. 29. 12:14

[워렌버핏 완벽투자기법] 기업요소 (3/3)

기업요소의 3번째 내용은, "장기적 전망이 밝은 기업에 투자하라" '...우리는 투하 자본에 대해 높은 수익률을 올리고 향후에도 계속 그럴 가능성이 높은 회사의 주식을 선호한다...' (본문 중) 이러한 의견은 단순히 영업을 잘해서 실적을 잘 올릴 수 있는 기업을 의미하는 것은 아닐 것입니다 장기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지속시킬 수 있는 기업은 '독점적 지위'의 기업을 의미하는 거죠 독점적 기업에 대한 버핏의 정의는, 1. 제품에 대한 필요성과 수요가 높고 2. 대체 상품이 존재하지 않으며 3. 규제를 받지 않는 기업 (본문 중) 사용의 필요성과 수요가 존재하는 독점적 지위의 기업은 시장현황과 관계없이 가격결정권을 가질 수 있습니다 경쟁자가 거의 없기 때문에 가격경쟁을 하지 않으며, 그로 인해 높은 수익률을..

주식&부동산&투자 2014. 5. 27. 08:47

[워렌버핏 완벽투자기법] 기업요소 (1/3)

워렌버핏이 직접적으로 어떤 책과 관련된 것은 극소수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결국, 시중에 나와있는 책들은 그의 Action 을 외부에서 보고 분석한 내용들이라고 하네요 어쨌건, 나보다 오랜 시간동안 워렌 버핏을 분석한 사람이 쓴 내용일테니, 일단 참고해 봅시다 이 책에서 투자를 위한 검토요소라고 정의된 기준들에 대해서, 지금까지 가진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나에게 맞는 평가방안으로 Modification 해 보고자 합니다 워렌버핏 완벽투자기법이라고 이름지어진 책에서는 워렌버핏이 투자할 기업을 선택하는 기준으로 여려가지 요소를 검토한다고 하며,그 첫번째 기준으로 기업요소라는 것을 들고 있습니다 즉, 투자하려는 대상기업이 속해있는 산업, 그 산업 내에서 그 기업이 하고있는 사업에 대한 내용입니다 기업요소에..

주식&부동산&투자 2014. 5. 24. 11:17

워렌 버핏의 완벽투자기법

워렌 버핏의 완벽투자기법 저자 로버트 해그스트롬 지음 출판사 세종서적 | 2006-12-10 출간 카테고리 경제/경영 책소개 워렌 버핏 관련 가장 많이 팔리고 가장 유명한 바로 그 책! 철... 주식투자는 기업을 사는 것 "우리는 우리가 이해할 수 있고, 우리가 좋아하는 사람이 운영을 하고, 장래의 전망에 비해서 매력적인 가격에 거래되는 기업만 매입하길 원할 뿐이다" (워렌 버핏, 2001) 기업요소 (기업자체에 대한 세 가지의 기본적인 특징) 기업의 활동이 단순하고 이해하기 쉬운가? 기업이 일관되고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가? 기업의 장기적인 전망이 밝은가? 경영요소 (최고 경영진이 지녀야 할 세 가지의 중요한 자질) 경영진이 합리적인가? 경영진이 주주들에게 정직한가? 경영진이 제도적 관행에 도전할 용..

주식&부동산&투자 2014. 5. 23. 13:13

도달하고자 하는 목표와 그 목표를 헷갈리게 하는 돈

큰 기업들은 새로운 시작을 할 때 어느정도 신규사업의 안정기에 대한 유예기간이 있습니다 신규상품을 고객에게 홍보하고 상품도 판매하는 사이트를 구축했다고 봅시다 각종 이벤트로 고객들도 불러모으고, 새로운 상품을 다양한 소구를 통해 판매하기 위해 노력하게 됩니다 한달, 두달 시간이 지나면서 잘못되었던 부분은 수정이 되고, 거의 없던 매출도 점점 발생하기 시작합니다 일정 기간이 지나도 원하는 수준의 실적을 달성하지 못할 경우, 새로운 투자를 할 것인지, 그 상태에서 Drop 할 것인지에 대해 의사결정이 이루어집니다 이제 막 사업을 시작한 스타트업에 위의 스토리 중 최소한의 기간으로 줄여야 하는 부분은 무엇일까요? 그것은, 바로 사업의 안정기까지 걸리는 시간입니다 재벌 2세가 자비를 털어서 여유있게 시작하는 비..

비즈니스/스타트업 2014. 4. 22. 00:14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다음
TISTORY
Start From Here for better life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